13차시.품의서 작성 방법 및 실습
1. 품의의 뜻으로 올바른 것은?
1) 얼마나 비용이 들어가는지 품한 것을 말한다.
2) 상사에게 여쭈어 의논함이라는 뜻이다.
3) 어떤 일을 할 때 얼마나 공임(품)이 들어가는지를 계산한 문서이다.
4) 상사에게 어떤 사안을 보고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2
해설 : 상사에게 어떤 사안을 여쭈어 어떻게 하겠다는 내용으로 보통 목적, 내용, 예산으로 구성이 됩니다.
2. 전결에 대하여 올바른 내용이 아닌 것은?
1) 전결은 사장이 자신의 권한을 위임한 것으로 위임받은 자가 결재를 하는 것을 말한다.
2) 전결은 보통 회사의 위임전결규정에 정해져 있다.
3) 품의서를 만들 때 전결권자를 반드시 확인해서 결재선을 지정해야 한다.
4) 전결이 정확히 정해져 있지 않으면 위임전결규정에서 대략 비슷한 전결권을 준용한다.
정답 : 4
해설 : 회사의 CEO의 권한을 대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함부로 권한을 지정하면 안 됩니다.
권한이 애매한 경우 재무조직이나 위임전결규정을 제정한 조직에 문의해서 정확한 전결권을 바탕으로
결재선을 지정해야 합니다.
3. 협조의 구성 중 잘못 기술된 것은?
1) 합의는 유관부서의 승인 없이는 다음 단계로 결재가 넘어가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2) 협의는 유관부서의 승인 없이는 다음단계로 결재가 넘어가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3) 참조는 유관부서에게 관련 사항을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
4) 협조는 결재라인상에서 유관부서에 품의 내용에 대하여 협조를 부탁하는 것을 말한다.
정답 : 2
해설 : 협의는 유관부서가 결재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
협의가 안 되어도 결재권자에게 의견을 첨부해서 결재를 올릴 수 있습니다.
14차시. 제안서 작성의 핵심 방법 및 Tip
1. 우사한 제안서의 요건이 아닌 것은?
1) 명료하고 논리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다.
2) 하고자 하는 비즈니스 또는 일에 대해 사실이나 근거를 제시한다.
3) 상대를 설득할 수 있는 이해하기 쉽고 명료한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4) 제안하는 회사가 주장하고 싶은 내용이 잘 담겨져 있다.
정답 : 4
해설 : 고객의 니즈가 잘 반영된 제안서가 좋은 제안서입니다. 제안하는 회사의 입장에서 주장하고 싶은
내용이 잘 담긴 제안서가 좋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2. 제안요청서에 대하여 올바른 설명이 아닌 것은?
1) 제안을 잘 받기 위해서 제안요청서를 작성한다.
2) 제안요청서에는 평가요소를 반영해서 제안을 하는 회사에서 중요한 포인트를 알 수 있게 하면 도움이 된다.
3) 제안서 작성 형식을 제시해서 필요한 요소가 다 반영되도록 할 수 있다.
4) 반드시 금액제안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반영하여야 한다.
정답 : 4
해설 : 사안에 따라서 제안금액이 중요할 수도 있고, 제안의 품질이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단정적으로 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금액요소를 강하게 부각시키면 제안 퀄리티가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3. 좋은 제안서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고객사에 대하여 다각도의 정보수집이 필요하다.
2) 제안팀 워크샵을 실시한다.
3) 고객의 요청사항을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노력한다.
4) 간결하지만 강력한 논지를 만들기 위해 제안팀이 협력하고 노력한다.
정답 : 2
해설 : 제안팀 워크샵도 좋으나 중요한 것은 내용이 잘 정리되는 것이 선결과제입니다.
제안팀 워크샵은 그것을 진행하기 위한 보조적 노력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15차시. 대형프로젝트 기획 및 결과보고서 작성 방법
1. 대형 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보고의 목적, 방향성 등을 초반에 브레인스토밍해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
2) 가설은 자료조사가 다 끝나고 하면 좋다.
3) 여러 가지 보고서의 형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이 좋다.
4) 최종보고서는 스토리를 만들고 그에 필요한 근거자료를 배치하여 완성한다.
정답 : 2
해설 : 가설은 초반에 수립하여야 자료조사가 방향성 있게 진행되고 시간도 단축이 됩니다.
2. 대형 프로젝트 보고서 작성의 요령은?
1) 처음부터 파워포인트 문서를 만들어 속도감 있게 처리한다.
2) 파워포인트 보고서를 만들어 놓고 자료 조사를 한다.
3) 근거자료들을 적절히 배치하고 스토리라인을 만든다.
4) 스토리라인을 만들고 근거자료를 하단에 배치한다.
정답 : 4
해설 : 스토리라인을 우선 만들어야 보고서가 짜임이 있게 됩니다. 각 헤드라인에 필요한 자료를 하단에 배치를
하면 됩니다.
3. 대형 프로젝트 보고서를 만드는 효과적인 방법이 아닌 것은?
1) 협업 시 기본 방향성, 기본 포맷 등은 미리 통일해 놓는 것이 좋다.
2) 협업을 위해서 목차를 미리 잘 작성해야 한다.
3) 이슈보고서와 회의록을 통해서 다양한 의견을 검토하고 반영한다.
4) 보고서는 반드시 파워포인트로 구성한다.
정답 : 4
해설 : 주로 파워포인트로 작성을 하겠지만 보고자의 니즈에 따라서 워드형식이나 1페이지 보고의 형식을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16차시. 실전보고법
1. 다음중 보고기술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1) 메모와 우선순위 파악
2) 상사의 입장에서 생각하기
3) 보고의 목적 요약
4) 자신감 있는 태도
정답 : 2
해설 : 상사 입장에서 구상하는 것이 보고기술의 핵심 중에 핵심입니다.
2. 메모의 효과가 아닌 것은?
1) 기억력 강화
2) 우선순위 조정
3) 상사의 마음(뉘앙스) 파악
4) 일의 진척도 관리
정답 : 4
해설 : 메모와 우선순위 파악을 통해 상사의 입장과 마음을 이해하고, 우선순위를 조정하며, 기억력의 한계를
극복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신뢰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3. 인간의 주의집중력은 몇 초인가?
1) 10초
2) 20초
3) 30초
4) 40초
정답 : 3
해설 : 광고 등을 30초 이내로 메시지를 기획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커뮤니케이션 메시지를 만들 때는 30초 정도로 메시지를 기획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업무 > 「역량강화교육」- 학습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듀퓨어」 상사의 YES를 부르는 최강 보고법 - 21~23차시 (0) | 2021.10.24 |
---|---|
「에듀퓨어」 상사의 YES를 부르는 최강 보고법 - 17~20차시 (0) | 2021.10.23 |
「에듀퓨어」 상사의 YES를 부르는 최강 보고법 - 9~12차시 (0) | 2021.10.15 |
「에듀퓨어」 상사의 YES를 부르는 최강 보고법 - 5~8차시 (0) | 2021.10.13 |
「에듀퓨어」 상사의 YES를 부르는 최강 보고법 - 1~4차시 (0) | 2021.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