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차시. 회의와 상담/코칭을 통한 올바른 기획 방법
1. 좋은 회의방법이 아닌 것은?
1) 상대방의 관점을 받아들이고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는 자세를 가진다.
2) 자신의 고정관념을 내려놓고 이 상황에는 무엇이 맞을까 생각한다.
3) 치열하게 논의하되 감정을 내려놓고 배려심을 가지고 진행한다.
4) 답을 미리 정해 놓고 회의의 방향을 이끈다.
정답 : 4
해설 : 회의를 하는 진정한 목적은 다양한 관점을 기획 안에 담아서 올바른 정책을 수립하려는 것입니다.
2. 브레인스토밍의 4가지 원칙이 아닌 것은?
1) 부정적인 감정이 사고를 저해하기 때문에 비판을 금해야 한다.
2) 허황되고 비현실적인 내용도 수용할 수 있는 자유분방함이 필요하다.
3) 질보다 양 우선으로 많은 아이디어를 도출해야 한다.
4)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에 편승하면 안된다.
정답 : 4
해설 :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에 편승해서 첨가나 수정을 하면서 점차 다양한 안을 제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3. 코칭의 핵심 철학의 이론적 근거는?
1) 맥그리거의 Y형인간관
2) 맥그리거의 X형인간관
3) 성악설
4) 매슬로우의 욕구 5단계설
정답 : 1
해설 : 코칭은 맥그리거의 Y형인간관(인간은 스스로 노력한다)에 기반합니다.
6차시. 보고서 작성의 핵심기술(1)
1. 보고나 보고서 작성 시 맨 처음에 해야 할 행동은?
1) 보고의 제목이나 목적을 고민한다.
2) 보고의 목차를 잡는다.
3) 보고서의 스토리라인을 만든다.
4) 가설을 세운다.
정답 : 1
해설 : 우선적으로 보고의 목적과 제목을 구상해서 명확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이 분명하지 않으면 많은 시행착오를 겪거나, 중언부언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2. 1페이지 보고서를 만드는 요령이 아닌 것은?
1) 목차를 잡은 후 자연스럽게 브레인스토밍 하듯이 기술한다.
2) 첨부문서를 작성하는데 역량을 집중한다.
3) 키워드 중심으로 압축한다.
4) 표를 잘 활용한다.
정답 : 2
해설 : 첨부문서보다는 핵심적인 내용을 1페이지에 압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핵심은 1페이지, 자료는 첨부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료를 만드는데 너무 많은 시간을 쓰기보다는 1페이지 보고서를 잘 만드는데 집중하십시오.
3. 보고서 목차에 들어갈 가장 주요한 내용이 아닌 것은?
1) 어디서
2) 어떻게
3) 무엇을
4) 왜
정답 : 1
해설 : 왜, 무엇을, 어떻게가 보고서의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나머지는 필요할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7차시. 보고서 작성의 핵심기술(2)
1. 중간보고의 핵심적인 방법이 아닌 것은?
1) 일의 진척도와 이슈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보고한다.
2) 상황이 바뀌었을 때는 바로 보고한다.
3) 상사가 내린 지시를 잘 검토해서 수정할 사항은 중간보고를 하여 변경한다.
4) 되도록이면 잘 완성된 보고서를 가지고 보고한다.
정답 : 4
해설 : 처음 보고는 완성도가 높은 보고서보다는 중요 컨셉이나 방향성을 담은 내용으로 보고하여 서로의 의견을
담거나 조율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훨씬 빠르게 보고를 완성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2. 프로젝트 관리기법의 핵심은?
1) 순서대로만 진행하기
2) 일을 쪼개서 성취하기
3) 예정일보다 빠르게 완료하기
4) 한 번에 시작하고 끝내기
정답 : 2
해설 : 프로젝트 관리기법의 핵심은 '일을 쪼개서 성취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0,000미터 달리기를 할 때
1,000미터씩 나누어서 전력질주를 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처럼 전체의 일을 쪼개서 쪼개진 그 하나하나를
정복해 나가는 방법을 Divide an Conquer라고 합니다.
3. 간트차트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큰 프로젝트에서 현황의 중간보고 시 활용한다.
2) 큰 프로젝트보다는 작은 프로젝트 보고 시 효과적이다.
3) 가로는 과업, 세로에 일정이 나오도록 작성한다.
4) 많은 양의 문서와 함께 활용하여 보고한다.
정답 : 1
해설 : 간트차트는 세로는 과업, 가로는 일정이 나와 있는 간단한 ㅊ라트로 큰 프로젝트의 현황을 그때그때 중간보고
할 때 효과적이며, 많은 양의 문서를 가지고 하는 중간보고보다 간트차트를 두고 시의 적절하게 상사나
이해관계자와 논의하는 게 더 효과적입니다.
8차시. 보고서 작성의 핵심기술(3)
1. 메모 활용 시 적절한 방법이 아닌 것은?
1) 메모한 사항과 상사의 지시를 다시 반복해서 이야기한다.
2) 상사가 여러 지시를 내렸을 경우 우선순위와 데드라인을 확인한다.
3) 메모한 내용은 공유보다는 개인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4) 상사가 말하는 거의 모든 사항을 기록하고, 나중에 기억이 용이하도록 메모한다.
정답 : 3
해설 : 회의나 미팅에서 메모한 내용들을 회의록이나 메일로 정리해서 공유하면 그 자료가 보고서
작성의 기본 자료가 됩니다.
2. 회의록에 반드시 담길 중요한 사항으로 가장 중요도가 높은 것은?
1) 일시/장소
2) 결정사항
3) 참석자
4) 논의사항
정답 : 2
해설 : 회의록은 중요한 결정사항에 대한 기록문서입니다. 회의에서의 결정사항을 나중에 확인할 수 있도록
반드시 기록하여야 합니다.
3. 이슈 보고서에 반드시 담길 내용이 아닌 것은?
1) 어떤 정책에 대한 여러 가지 대안
2) 여러 대안을 추진 시 발생할 수 있는 이슈
3) 과거, 내 외부의 유사 사례나 벤치마킹 사례
4) 최종 결정 사항
정답 : 4
해설 : 이슈 보고서를 가지고 논의하여 최종보고서를 만들어 최종 의사결정을 받게 됩니다.
최종 결정사항은 최종보고서 작성 이후에 담기게 됩니다.
'업무 > 「역량강화교육」- 학습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듀퓨어」 상사의 YES를 부르는 최강 보고법 - 21~23차시 (0) | 2021.10.24 |
---|---|
「에듀퓨어」 상사의 YES를 부르는 최강 보고법 - 17~20차시 (0) | 2021.10.23 |
「에듀퓨어」 상사의 YES를 부르는 최강 보고법 - 13~16차시 (0) | 2021.10.23 |
「에듀퓨어」 상사의 YES를 부르는 최강 보고법 - 9~12차시 (0) | 2021.10.15 |
「에듀퓨어」 상사의 YES를 부르는 최강 보고법 - 1~4차시 (0) | 2021.10.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