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힘 있는 소리를 위해서 호흡을 힘 있게 뱉어야 하기 때문에 긴 호흡이 필요하다. (5점)
1) O
2) X
정답 : 2
해설 : 힘있는 소리를 위해서는 힘있게 호흡을 뱉어야 하기 때문에 긴 호흡보다는 짧은 호흡이 필요하다.
2. 다음 중 발성하기 좋은 자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점)
1) 연습이 이루어진 후에 실전에서 활용한다.
2) 실전에서도 복식호흡에 꼼꼼히 신경을 쓰며 말한다.
3) 성대에 무리되지 않도록 지나친 연습은 피한다.
4) 스스로 편한 자세를 유지한다.
정답 : 2
해설 : 연습이 어느 정도 된 이후에 실전 PT에서 활용해야 한다. 가끔 복식호흡을 지나치게 신경 써서 오히려 PT를
망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실전 PT에서는 내용에 집중해야 한다. 복식호흡과 발성은 충분히 훈련이 된 이후에
몸으로 익숙해 진 이후에 실전 PT 때 활용해야 한다.
3. 복식호흡을 하면 목소리가 좋아진다. (5점)
1) O
2) X
정답 : 2
해설 : 복식호흡을 하는 이유는 힘있는 목소리를 만들기 위함이지, 반드시 좋은 목소리를 만든다고 볼 수 없다.
좋은 목소리가 크고 힘있는 것만은 아니기 때문이다.
4. 영업과 세일즈를 할 때에는 아이스브레이킹이 필요 없다. (5점)
1) O
2) X
정답 : 2
해설 : 영업과 세일즈를 할 때는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아이스브레이킹이 필요하다. 이 때, 상냥하고,
부드러운 음성으로 다가간다면, 고객은 마음을 열고 여러분의 이야기에 좀 더 우호적으로 바뀔 수 있다.
5. 웅얼거리는 목소리를 가진 사람은 공명발성과 복식호흡을 병행하면 효과적이다. (5점)
1) O
2) X
정답 : 1
해설 : 웅얼거리는 목소리는 힘이 없거나 소리의 시작이 목구멍에서 시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복식호흡을
통해 소리의 힘을 키우고 공명발성을 통해 소리가 입 밖으로 튀어나오도록 하면 개선될 수 있다.
6. 목이 잠겼을 때는 허밍을 자주하는 것이 좋다. (5점)
1) O
2) X
정답 : 1
해설 : 허밍을 하면, 울림을 통해 잠긴 목소리를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
7. 잔기침을 하면 좋은 목소리를 만드는 데에 도움이 된다. (5점)
1) O
2) X
정답 : 2
해설 : 잔기침이나 헛기침은 성대에 무리를 주는 행동이므로 자제해야 한다.
8. 다음 중 하인리히의 법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점)
1) 미 해군 장교 출신 보험감독관인 하버드 윌리엄 하인리히에 의해 개발되었다.
2) 그는 산업재해 관련 일을 수행하였다.
3) 대형사고 전에는 작은사고도 없이 잠잠하다는 법칙이다.
4) 1929년 ‘하인리히의 법칙’ 이라는 논문으로 명명되었다.
정답 : 3
해설 : 하인리히의 법칙이란 한 번의 대형사고가 일어나기 전에는 여러 번의 작은 사고가 지나가고, 잠재적인 사고는
더 많이 지나간다는 것이다.
9. 다음 중 목구멍에 가까운 입천장에서 소리가 나며, 혀의 뒷부분이 입천장에 붙는 소리인 연구개음이
아닌 것은? (5점)
1) ㄱ
2) ㄹ
3) ㅇ
4) ㄲ
정답 : 2
해설 : 연구개음은 목구멍에 가까운 연한 입천장에서 소리가 난다. 혀의 뒷부분이 입천장에 붙는 소리이다. 여기에는
'ㄱ, ㄲ, ㅋ, o'이 있다.
10. 아무 것도 붙지 않는 소리로, 호흡이 나는 소리를 '후음'이라고 한다. (5점)
1) O
2) X
정답 : 1
해설 : 후음은 성음이라고도 하며, 아무 것도 붙지 않는 소리이다. 혀는 턱에 붙어 있고, 그대로 호흡이 나는 소리이다.
11. 다음 중 혀 끝소리, 즉 혀 끝을 윗니 뒤에 붙이며, 치아를 닫고 발음하는 치조음이 아닌 것은? (5점)
1) ㄴ
2) ㄹ
3) ㄷ
4) ㅍ
정답 : 4
해설 : 치조음이란 혀 끝소리, 즉 혀 끝을 윗니 뒤에 붙이며, 치아를 닫고 발음하는 자음을 말한다.
여기에는 'ㄴ, ㄹ, ㄷ, ㄸ, ㅌ, ㅅ, ㅆ'이 있다.
12. 다음 중 자음발음이 좋지 않은 이유로 바른 것은? (5점)
1) 모음발음을 정확하게 하지 않기 때문에
2) 혀가 입천장으로 올라가는 소리가 나기 때문에
3) 입을 크게 움직이기 때문에
4) 입 안에 혀가 유연하게 움질일 정도의 공간이 있기 때문에
정답 : 1
해설 : 특히 자음발음이 좋지 않은 이유는 모음발음을 정확하게 하지 않기 때문이다.
13. 충청도나 전라도는 말끝을 길게 늘이는 습관이 있어 종결어미를 힘있게 표현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 (5점)
1) O
2) X
정답 : 1
해설 : 충청도나 전라도는 말끝을 길게 늘이는 습관이 있다. 따라서 문장에서 조사나 종결어미를 더 간결하게, 힘있게,
짧게 표현하면 억양을 교정할 수 있다.
14. 내용이 좋다면, 고저(高低) 없는 말하기여도 청중의 집중력이 높아진다. (5점)
1) O
2) X
정답 : 2
해설 : 한 음으로 로봇처럼 딱딱하고 재미없게 말을 하게 되면 청중 입장에서 굉장히 지루하고, 아무리 좋은 이야기도
나른해지기 마련이다. 이 역시 실패한 스피치가 된다.
15. 잘 들리는 억양을 갖기 위해서는 오르막과 내리막 이후 다시 오르막을 표현하는 훈련을 반복적으로
해야 한다. (5점)
1) O
2) X
정답 : 1
해설 : 오르막과 내리막 이후 다시 오르막을 표현하는 반복 훈련을 통해 잘 들리는 억양을 갖을 수 있다.
16. 다음 <보기>의 문장에서 높임강조를 활용하여 '증거'를 강조하기 위해 음을 높여주어야 할 곳은?
<보기>
나는 희망의 증거가 되고 싶습니다. (5점)
1) 나'는
2) 희'망
3) 증'거
4) 되'고
정답 : 3
해설 : 증거’를 강조하기 위해서는 ‘증’에서부터 높여 주면 그 글자가 잘 들린다.
17. 낮춤강조는 긍정적인 단어에 주로 사용한다. (5점)
1) O
2) X
정답 : 2
해설 : 높임강조는 긍정적인 단어에 많이 사용이 된다면, 낮춤강조는 부정적인 단어에 더 많이 사용이 된다.
18. 신입사원이라면 작은 목소리로 말하는 것이 좋다. (5점)
1) O
2) X
정답 : 2
해설 : 신입사원이라면 크고 적극적인 목소리를 연출하는 것이 좋다.
19.동료에게 부탁을 할 때에는 '쿠션화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5점)
1) O
2) X
정답 : 1
해설 : 동료에게 업무를 부탁하는 상황에서는 보통 쿠션화법 많이 사용한다. "미안한데~, 부탁 좀 해도 될까?"와 같이
부드럽게 표현하는 것이다.
20. 다음 중 다른 사람에게 신뢰감을 주어야 하는 상황의 목소리 연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점)
1) 자신의 이야기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상황에서 필요하다.
2) 어미를 올리지 않고, 낮추는 것이 좋다.
3) 어미를 끌어 부드럽게 표현한다.
4) 말하는 사람의 딱딱함이 상대방에게 자신감으로 보일 수 있다.
정답 : 3
해설 : 어미를 끌지 않고 간결하게 표현하면, 훨씬 자신감과 신뢰감이 있어 보이게 된다.
'업무 > 「역량강화교육」- 진행평가, 최종평가, 과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듀퓨어」 [팔색쇼] 꿀성대 직장인이 되는 보이스 트레이닝 - 과제A유형 (0) | 2021.10.28 |
---|---|
「에듀퓨어」 [팔색쇼] 꿀성대 직장인이 되는 보이스 트레이닝 - 진행평가 (0) | 2021.10.26 |
「에듀퓨어」 生生 기업현장! 잘나가는 경리들의 실무 엿보기 - 과제C유형 (0) | 2021.10.24 |
「에듀퓨어」 生生 기업현장! 잘나가는 경리들의 실무 엿보기 - 최종평가 (0) | 2021.10.24 |
「에듀퓨어」 生生 기업현장! 잘나가는 경리들의 실무 엿보기 - 진행평가 (0) | 2021.10.24 |
댓글